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국회 교육위원회 김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18학년도 대입에서 자기소개서 표절에 따른 불합격자 수는 1,406명에 달했습니다.<br /> <br />자기소개서 표절로 인한 불합격자 수는 매년 증가해 2016학년도 1,261명에서 2017학년도에 1,390명으로 늘었고, 2018학년도에서는 다시 1,406명으로 증가했습니다. <br /><br />표절 여부는 2012년부터 본격 도입된 '유사도 검색시스템'으로 식별됩니다.<br /><br />자기소개서와 다른 글의 유사도가 5% 미만이면 유의(A), 5~30%는 의심(B), 30% 이상이면 위험(C)으로 각각 분류됩니다. <br /> <br />이어 전화조사와 현장실사, 심층면접 등을 통해 최종 표절 여부가 가려집니다.<br /><br />의심(B) 수준은 2016학년도 1,256명, 2017학년도 1,329명, 2018학년도 1,364명으로 늘었고, 30% 이상 위험(C) 수준도 각각 108명, 173명, 162명에 달했습니다.<br /><br />표절 불합격자 수는 의심(B) 이상 지원자입니다. <br /><br />반대로 표절이 의심되는 데에도 합격한 학생은 2016학년도 103명, 2017학년도 112명, 2018학년도 121명이었습니다. <br /><br /> "(의심이 가면) 점수상 불이익이 있는데, 점수 좋은 학생들이 다른 학교를 선택하면 차점자로 합격할 수가 있죠. 더구나 미충원이 나는 경우에는…"<br /> <br />교사추천서 표절 의심·위험 사례도 2017학년도 5,700명, 2018학년도 5,600명 등 끊이지 않았습니다.